안녕하세요, 오늘은 NFT 거래소 토큰인 블러코인(BLU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NFT 시장과 함께 주목받았던 블러코인, 현재 가격 동향과 주요 특징, 그리고
투자 시 주의할 점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 블러코인(BLUR) 의 개요
블러코인(BLUR)은 이더리움(Ethereum) 기반 NFT 거래소 Blur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2022년 10월에 출시된(해외거래소 기준) Blur 플랫폼은 NFT 전문 트레이더를 주요 타깃으로,
빠른 거래 체결과 낮은 수수료, 고급 트레이딩 기능을 제공합니다.
- 토큰명: 블러코인 (BLUR)
- 네트워크: 이더리움(ERC-20)
- 총 발행량: 30억 개
- 유통량: 약 23억 개 (2025년 4월 1일 기준)
🚀 주요 특징
- NFT 전문 트레이더 중심 플랫폼
- 에어드랍 및 거래 보상 시스템 운영
- 거버넌스 투표 참여 가능
📉 최근 가격 동향
📅 2025년 4월 1일 기준, 블러코인은 한국시장에서 1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총발행량은 30억 개이지만, 실제 유통량은 약 23억 개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약 3,500억 원
이는 대부분의 거래소와 정보 사이트가 사용하는 유통량 기준 시가총액입니다.
(※ 총발행량 30억 개 × 150원대 가격 = 약 4,500억 원과 혼동 주의)
블러코인은 2024년 2월경 최고가 1,200원대까지 상승했다가 현재는 상장 이후
최저점인 15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 개발 및 상장 정보
Blur 플랫폼은 2022년, 샌프란시스코 기반 개발팀에 의해 런칭되었습니다.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의 1,100만 달러 투자 유치로 시작되었으며,
주요 거래소는 코인베이스(Coinbase), 쿠코인(KuCoin), 바이비트(Bybit) 등
다수해외거래소를 포함해 한국의 업비트, 빗썸에도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 장점
- NFT 트레이더 친화적 플랫폼
- 활발한 에어드랍 및 보상 정책
- 커뮤니티 중심의 거버넌스 운영
- 국내 거래소 상장으로 접근성 용이
⚠️ 리스크
- NFT 시장 침체 시 플랫폼 이용자 감소 가능성
- 소수 대량 보유자에 의한 거버넌스 왜곡 우려
- 시장 가격 변동성 큼
- 가상자산 시장 규제 리스크
🔎 결론
블러코인(BLUR)은 NFT 시장 내 트레이더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해왔지만,
현재 NFT 시장 침체와 맞물려 최저점 수준의 가격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투자 시, NFT 시장 흐름과 BLUR 토큰의 유통량, 시가총액 구조를 반드시 확인하시고
충분한 리스크 관리 후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짤은 팁을 드린다면 별 악재없이 전체 시장에 영향을 받아 하락 했고 한국시장
상장후 역사상 가장 저점, 긔리고 하락시 물량이 없이 하락을 했다는 점은 시장이
돌아설 때 상당한 상승을 예상해 볼 수 있으나 만약 투자를 한다고 해도 절대로
큰 금액으로 해서는 안되겠지요. 이런 내용은 코멘타리에서 해야되는데 그냥
여기서 했습니다)
전체 시장을 이해하기 위해 바로 다음에는 비트코인 도미넌스에 대해 포스팅을
해드리겠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트럼(Arbitrum)코인의 개요와 전망 (0) | 2025.04.01 |
---|---|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비트코인 도미넌스 지표 말끔히 정리 (1) | 2025.04.01 |
밈코인의 열풍을 일으켰던 '페페코인' 투자전략은 (1) | 2025.03.30 |
오피셜 트럼프 코인!! 대체 뭐지? (0) | 2025.03.27 |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코인은 뭘까요?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