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기, 트럼프, 그리고 고율 관세...
2024년 말, 암호화폐 시장은 여러 이유로 역대급 강세장을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반감기, 기관 자금 유입, 정책 우호성 등을 핵심 근거로 들었고, 실제로 2024년 11월 이후 시장은 빠르게 상승세를 타는 듯 보였습니다.
비트코인은 한국시장 기준 2025년 연초에 1억6천만 원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다른 알트코인들도 상승을 하자 투자자들은 과거처럼 반감기 이후 강세장이 반복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졌습니다.
트럼프의 재선으로 시장은 마치 "예측이 곧 현실로 증명되는 듯한"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4월 현재, 시장은 조용합니다. 상승은 멈췄고, 비트코인은 일정 구간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반감기의 흐름이 깨진걸까?
트럼프의 재선은 희망이었지만 그의 고율의 관세정책은 앞으로도 시장을 냉각시켜 버릴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과거의 과정을 하나씩 되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의 반감기(Halving)는 약 4년마다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구조적 이벤트입니다.
2024년 4월, 비트코인은 네 번째 반감기를 맞으며 블록당 보상이 6.25 BTC에서 3.125 BTC로 줄어들었습니다.
공급량이 줄어들수록 희소성은 증가하고, 이는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왔습니다.
역사를 보면 반감기 이후 대체로 상승장이 찾아왔습니다.
2012년 반감기 이후에는 2013년 강세장이, 2016년 반감기 이후에는 2017년의 대세 상승장이, 그리고 2020년 반감기 이후에는 2021년의 ‘불장’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형성하는 강력한 전례가 되었고, 2024년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이번에도 똑같이 상승장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유력 인사들의 긍정적 전망
반감기를 전후로 국내외의 많은 전문가들이 2025년은 암호화폐 시장의 대세 상승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디지털자산 채굴기업 비트 마이닝(Bit Mining)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유웨이 양(Yuwei Yang)은 2025년 비트코인 가격이 18만 달러에서 19만 달러 사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는 공급 축소에 따른 희소성과 더불어, 글로벌 자금의 유입이 본격화되면 해당 가격대는 충분히 도달 가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의 리서치 책임자 알렉스 손(Alex Thorn) 역시 2025년 상반기 비트코인이 15만 달러를 돌파하고, 4분기에는 18만 5천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가상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Nexo)의 최고 상품 책임자인 엘리사 태스코바(Elitsa Taskova)는 2025년 비트코인이 25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으며, 향후 10년 이내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금을 넘어설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국내 전문가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 대표 주기영은 2024년 2월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연내에 1억 5천만 원을 돌파할 것이라 예측했고, 실제로 해당 전망은 같은 해 12월에 적중했습니다.
이처럼 전문가들의 전망은 단순한 낙관론이 아니라, 과거 흐름과 구조적 변화, 그리고 제도권 유입이라는 명확한 근거 위에서 제시된 것입니다.
트럼프 당선, 시장은 실제로 움직였다
2024년 11월,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은 다시 한 번 활기를 띠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암호화폐를 미국의 국가 전략 자산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공개적으로 펼쳤고, 비트코인은 이에 반응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시장 전반에는 "이제 진짜 상승장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퍼졌고, 많은 투자자들이 앞다투어 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예측이 현실화되는 듯한 흐름 속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강력한 기대감을 품고 2025년을 맞이했습니다.
그런데 왜 지금은 조용할까?
2025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주요 국가에는 고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에는 최대 60%, 한국에는 26%, 일본은 24%, 유럽연합은 20%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질서에 큰 충격을 주었고, 글로벌 증시는 즉각적으로 급락했습니다.
S&P500과 나스닥이 크게 조정받았으며, 월스트리트 전체에서 하루 만에 약 2.5조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JP모간은 미국의 경기침체 확률을 기존보다 높여 60%로 상향 조정했으며, 아시아개발은행은 글로벌 성장률이 0.5%포인트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시장에서는 여전히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투자자들은 자산을 회수하거나 안전한 자산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결국 시장의 상승 모멘텀은 꺾였고, 비트코인은 일정 범위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결론: 상승이 ‘지연’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의 정체는 비트코인의 구조적 호재인 반감기 효과와, 트럼프 당선이라는 정책적 기대감이 여전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라는 변수가 시장의 반응을 일시적으로 눌러버리고 있는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일시적이라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시장은 단일 요인에 의해 움직이지 않습니다.
정치, 경제, 제도, 기술, 투자심리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구조 속에서, 상승과 조정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흐름을 보면 반감기 이후 수개월의 지연이 있었던 만큼, 지금의 지지부진함도 일정 부분 예견된 과정일 수 있습니다.
반감기와 트럼프라는 재료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그것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지금의 정체는, 어쩌면 ‘진짜 상승’을 준비하는 고요일 수도 있습니다.
'크립토 뉴스 & 코멘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왜 갑자기 관세를 유예했나 (5) | 2025.04.10 |
---|---|
폭락하는 암호화폐, 내 돈을 어떻게 지킬까? (6) | 2025.04.07 |
리플(XRP) 시장 분석|2025년 현황과 향후 전망 (4) | 2025.03.31 |
2025년 2분기 암호화폐 시장 전망 (0) | 2025.03.28 |
“세력의 놀이터? 급등 코인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