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유예, 철회일까? 숨고를기일까? 투자자들은 알아야 한다.
2025년 4월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예고한 ‘상호주의 관세 조치’가 전격 유예됐습니다.
발효 하루 전날 발표된 이 유예 조치는 시장에 즉각적인 반응을 불러왔고,
특히 나스닥 지수가 단 하루 만에 12%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이번 이슈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강한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의 심리와 흐름에도 직접적인 파급 효과를 주고 있기 때문에 포스팅을 통해 정리합니다.
1. 무엇이 발표됐나?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1. 2025년 4월 10일부터 적용 예정이던 상호 관세 조치를 모든 국가에 대해 90일간 유예한다.
2. 단, 중국은 예외이며, 중국산 수입품에는 125%의 고율 관세가 즉시 발효된다.
이는 곧, “관세를 철회한 게 아니라, 일시적으로 미뤘을 뿐”이라는 의미입니다.
2. 왜 유예했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의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미국은 불공정한 무역 관행에 맞서기 위해 대응 조치를 준비해왔다.
그러나 우방국과의 무역 재조정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90일간 관세를 유예한다.”
즉, 중국은 정면 압박하고, 다른 나라는 다시 ‘협상의 시간’을 주겠다는 의도입니다.
3. 시장 반응은?
이 발표 이후, 전 세계 금융시장은 강하게 반응했습니다.
1. 나스닥 지수: +12.3% 급등
2. S&P500: +9.5% 상승 (2008 금융위기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
3. 다우존스 지수: +7.9% 상승
4. 한국 시장: 이틀 전 ‘매도 사이드카’ 발동 → 이날은 ‘매수 사이드카’ 발동
5. 글로벌 시장 거의 비슷
4. 진짜 중요한 포인트는?
이번 유예 조치는 “없던 일이 된 것”이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90일 뒤 다시 발효될 수 있는 관세폭탄이 연기된 것"입니다.
핵심 정리:
- 관세는 철회되지 않았다
- 시장 반응은 ‘일시적 안도감’에 가깝다
90일 후 실제 발효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5. 미국 내부 여론이 흔들고 있었다?
한편 이번 유예 조치는 단순한 외교적 판단이 아닌,
미국 내 정치적 압박에 밀린 선택이라는 해석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 미국 소비자 물가 급등
- 중소기업과 농가의 반발
- 노조와 생산자 단체들의 집단 시위
- 전국적으로 확산된 항의 분위기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국내 불만 여론을 진정시키기 위해 ‘관세 유예’ 카드를 꺼냈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6. 앞으로 주목할 것들
- 중국의 대응 조치
→ 중국은 즉각적으로 미국산 제품에 84% 보복 관세를 발표함
→ 미중 무역 긴장 고조 예상 - 유예 기간 내 무역 재협상 진행 여부
→ 유럽, 한국, 일본 등이 트럼프의 새로운 무역 조건을 수용할지 주목
7. 마무리 한마디
트럼프의 한마디는 단순한 정치적 메시지가 아닌,
글로벌 경제를 뒤흔드는 핵심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알아야 할 건,
관세는 사라진 게 아니라, 잠시 숨을 고르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입니다.
이번 유예 조치의 진짜 의미는
‘무역 전략’이 아닌, 미국 내 정치적 위기관리의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혹시 트럼프 대통령이 고도의 협상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의구심도 듭니다.
처음에는 전 세계에 고율 관세라는 초강수를 던져 긴장감을 극대화하고,
시간이 흐른 뒤에는 처음보다는 낮은 수준의 관세를 제안함으로써
상대 국가들이 오히려 "그 정도면 다행"이라며 수용하게 만드는, 그동안
트럼프가 많이 해왔던 방식이니까요.
아무튼 이 전략이 의도된 것이든, 상황에 따른 조정이든,
결국 트럼프는 다시 한 번 글로벌 판을 흔드는 중심에 섰습니다.
90일 후, 진짜 관세 전쟁이 다시 시작될지도 모릅니다.
'크립토 뉴스 & 코멘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하라! 트럼프에 분노한 미국민, 그 이유와 파장은? (2) | 2025.04.15 |
---|---|
실체없는 정치 테마주, 삐끗하면 쪽박입니다. (4) | 2025.04.11 |
폭락하는 암호화폐, 내 돈을 어떻게 지킬까? (6) | 2025.04.07 |
암호화폐 시장, 지지부진 언제까지 이럴까? (6) | 2025.04.05 |
리플(XRP) 시장 분석|2025년 현황과 향후 전망 (4)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