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더(ARDR/KRW)
오늘은 아더(Ardor) 코인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현재 한국(오후8시30분 현재) 업비트 기준으로 114원에거래되고 있으며, 약 50원이 올라 오늘 상승율이 80%가량 상승한 모습입니다. (1시간 전부터 글을 작성하다가 두번이나 상승율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아더라는 코인은 어떤 프로젝트일까요?
기본 정보
최초 발행일: 2016년 10월
총 발행 한도: 998,466,231개
현재 유통량: 998,466,231개 (2025년 4월 9일 기준, 코인마켓캡 제공)
시가총액: 약 1,019억 원
역사적 최고가: 약 2,750원 (2017년 말)
최근 고점: 약 200원 (2024년 11월 말~12월 초)
역대 최저가: 약 30원 (2020년 3월)
아더(Ardor)란?
아더는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멀티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하나의 체인이 모든 기능을 처리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부모 체인과 자식 체인을 분리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합니다.
부모 체인(Parent Chain): 전체 네트워크의 보안과 기록을 담당합니다.
자식 체인(Child Chain): 실제로 거래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 때 이 자식 체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속도는 빨라지고 수수료는 줄어들며, 각 자식 체인은 자신만의 토큰이나 기능을 만들 수 있어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유리합니다.
아더의 기술적 특징
1 멀티체인 아키텍처
부모 체인과 자식 체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운영합니다. 자식 체인 간 데이터 충돌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보안은 부모 체인이 담당합니다.
2 수수료 최적화
자식 체인에서는 아더(ARDR)가 아닌 해당 체인의 자체 토큰으로 수수료를 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3 데이터 프루닝(Data Pruning)
오래된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정리해 블록체인의 크기를 가볍게 유지합니다.
4 플러그앤플레이 구조
복잡한 코딩 없이도 블록체인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5 PoS 기반 합의 + 리스 기능
지분증명(PoS) 기반에 ‘리스(Leasing)’ 기능을 더해 보유자가 보유 코인을 다른 노드에 위임해 합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보안성과 탈중앙성을 함께 추구합니다.
아더 생태계와 활용 사례
아더는 단순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아닌, 실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목표로 합니다. 대표적인 자식 체인인 이그니스(Ignis)에서는 실험적 기능들을 먼저 도입하며 활용되고 있습니다.
공급망 관리, 투표 시스템, 인증, 자산 관리 등 다양한 실생활 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으며, 유럽 일부 기업과의 협업 사례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아더의 장점
1 높은 확장성
멀티체인 구조를 통해 빠른 거래 처리와 네트워크 안정성을 동시에 유지합니다.
2 에너지 효율적 구조
채굴이 필요 없는 지분증명 기반이라 전력 소모가 적습니다.
3 개발자 친화성
복잡한 코드 없이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습니다.
4 검증된 안정성
2016년부터 운영된 만큼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아더의 리스크
1 시장 인지도 부족
상대적으로 알려진 코인은 아니며, 투자자의 관심이 낮은 편입니다.
2 자식 체인 활용 저조
구조는 잘 되어 있지만 실제 활용 사례가 많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3 강력한 경쟁자 존재
유사한 구조를 가진 폴카닷, 아발란체, 코스모스 등과의 경쟁에서 차별화가 쉽지 않습니다.
결론
아더(Ardor)는 독특한 멀티체인 구조를 기반으로 확장성과 효율성을 잡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기술적인 완성도는 높지만, 시장의 관심은 비교적 낮은 상황입니다.
이번 급등이 단기 이슈인지, 혹은 생태계 확장을 위한 새로운 시작인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오늘 이 코인에 대한 글 제목이 아더코인 급등이 찐바닥 탈출인가? 입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전제 시장이 지켜준다면 아더는 혼자서 이번 저점을 깨러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몇년간 지켜줬던 저점을 깨고 올라왔다는 것이 긍정적인 점입니다. 특정 종목에 대한 개인적인 뷰는 이쯤에서 삼가토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이종목도 싯가종액은 상당히 낮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코인(Pi), 뭐길래 요즘 주목받고 있는가? (7) | 2025.04.12 |
---|---|
하이파이(HIFI), 오늘 55% 급등...무슨 일일까? (2) | 2025.04.12 |
폭락장에서 홀로 급등하는 코박토큰(CBK) (5) | 2025.04.07 |
인젝티브(INJ) 코인,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기술과 생태계 (4) | 2025.04.02 |
아비트럼(Arbitrum)코인의 개요와 전망 (0) | 2025.04.01 |